Product/PM 4

[PM] 우당탕탕 플레이스토어 출시 여정기(2)

• 프로덕션 액세스 권한 부여 며칠 뒤, 앱에 프로덕션 액세스 권한이 부여되었다. 나는 프로덕션 권한이 부여되면 별도의 심사 과정 없이 바로 플레이스토어에 런칭될 것으로 예상했지만, 마지막 심사가 남아있었다. • 첫번째 리젝 : 테스트 계정 문제 첫번째 리젝 사유는 구글 측에 테스트용 게스트 계정을 제공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아마 소셜 로그인을 사용하는 서비스들은 공통적으로 겪을 수밖에 없는 리젝 사유인 듯하다.) 테스트 계정을 제공한 후 다시 심사를 요청했지만, 또다시 리젝되었다. 원인은 정말 사소하게도 제공한 테스트 계정의 2단계 인증을 해제하지 않아서 발생한 것이었다. 2단계 인증을 해제한 후 다시 심사를 요청했고, 얼마 지나지 않아 로그인을 했다는 알림을 받았다. • 두번째 리젝 : 반응하지 않..

Product/PM 2025.02.27

[PM] 우당탕탕 플레이스토어 출시 여정기(1)

저는 '투유'라는 개발팀에서 PM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 글은 투유를 플레이스토어에 런칭하며 겪은 과정과 시행착오들을 정리한 글입니다 :) • 1차 개발 완료 드디어 길고 긴 개발 과정이 끝났다! 하지만 기쁨도 잠시, 더 큰 산이 기다리고 있었다. 바로 플레이스토어 심사 단계이다. 문제는 우리 팀 전원이 앱 출시 경험이 없다는 점이었다. 처음 해보는 과정인 만큼 걱정도 컸다. 특히 주변에서 심사에 탈락했다거나, 몇 주를 기다린 끝에 간신히 출시했다는 이야기를 많이 들어서 더욱 불안했다. 게다가 재작년부터 앱 심사 기준이 까다로워졌다는 소식까지 들리니 걱정은 배가 될 수밖에 없었다. • Google Play Console 비즈니스를 위한 Google Play | 앱 출시 및 수익 창출 | Googl..

Product/PM 2025.02.19

[PM] 실무에 가까운 경험을 만들어가는 방법

주변 개발자와 디자이너들을 보면, 대부분 실무에 가까운 경험을 쌓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개발자는 테스트 코드 작성과 리팩토링을 통해 코드의 품질을 높이고, 디자이너는 사용성을 고려한 디자인 시스템을 구축하며 효율적인 디자인을 위해 힘쓴다. 그렇다면 대학생 PM은 어떻게 실무에 가까운 경험을 쌓아갈 수 있을까? 나는 지난 겨울방학 프로젝트 이후 팀원들과 함께 사이드 프로젝트를 이어가며 여러 방법들을 직접 활용해보았고, 이번 글에서 그 경험을 공유해보려 한다! 1. PRD, 기능명세서 그리고 화면명세서 우선 PRD(Product Requirements Document)는 제품에 반영되어야 할 요구 사항을 담은 가이드라고 할 수 있다. 구글의 프로덕트 매니저인 Omar Eduardo는 2020년..

Product/PM 2024.10.27

[PM] 초보 PM이 알려주는 좋은 PM 되는 법

나는 UMC라는 대학생 IT 연합동아리에서 5기 PM파트로 활동을 했다!PM 스터디와 겨울방학때 프로젝트를 하며 배웠던 것들을 공유해보려고 한다.  1. PM이란? PM은 Product Manager의 줄임말로, 쉽게 말해 프로덕트(제품)을 매니징(관리)하는 사람을 말한다. 2. 기획자 vs PM 대개 기획자와 PM이 같은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하는 일이 전혀 다르다. 기획자는 문제 상황을 바탕으로 그것을 해결할 아이디어를 도출해내는 역할이고, PM은 프로덕트가 잘 만들어질 수 있도록 '운영'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난 운좋게도 저번 겨울방학때 기획자와 PM을 동시에 경험해보았다.  3. 기획문서 PM은 이걸 작성하기 위해 존재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리고 이걸 바탕으로 개발자와 디자이..

Product/PM 2024.0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