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duct 7

[PM] 우당탕탕 플레이스토어 출시 여정기(2)

• 프로덕션 액세스 권한 부여 며칠 뒤, 앱에 프로덕션 액세스 권한이 부여되었다. 나는 프로덕션 권한이 부여되면 별도의 심사 과정 없이 바로 플레이스토어에 런칭될 것으로 예상했지만, 마지막 심사가 남아있었다. • 첫번째 리젝 : 테스트 계정 문제 첫번째 리젝 사유는 구글 측에 테스트용 게스트 계정을 제공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아마 소셜 로그인을 사용하는 서비스들은 공통적으로 겪을 수밖에 없는 리젝 사유인 듯하다.) 테스트 계정을 제공한 후 다시 심사를 요청했지만, 또다시 리젝되었다. 원인은 정말 사소하게도 제공한 테스트 계정의 2단계 인증을 해제하지 않아서 발생한 것이었다. 2단계 인증을 해제한 후 다시 심사를 요청했고, 얼마 지나지 않아 로그인을 했다는 알림을 받았다. • 두번째 리젝 : 반응하지 않..

Product/PM 2025.02.27

[PM] 우당탕탕 플레이스토어 출시 여정기(1)

저는 '투유'라는 개발팀에서 PM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 글은 투유를 플레이스토어에 런칭하며 겪은 과정과 시행착오들을 정리한 글입니다 :) • 1차 개발 완료 드디어 길고 긴 개발 과정이 끝났다! 하지만 기쁨도 잠시, 더 큰 산이 기다리고 있었다. 바로 플레이스토어 심사 단계이다. 문제는 우리 팀 전원이 앱 출시 경험이 없다는 점이었다. 처음 해보는 과정인 만큼 걱정도 컸다. 특히 주변에서 심사에 탈락했다거나, 몇 주를 기다린 끝에 간신히 출시했다는 이야기를 많이 들어서 더욱 불안했다. 게다가 재작년부터 앱 심사 기준이 까다로워졌다는 소식까지 들리니 걱정은 배가 될 수밖에 없었다. • Google Play Console 비즈니스를 위한 Google Play | 앱 출시 및 수익 창출 | Googl..

Product/PM 2025.02.19

[PM] 실무에 가까운 경험을 만들어가는 방법

주변 개발자와 디자이너들을 보면, 대부분 실무에 가까운 경험을 쌓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개발자는 테스트 코드 작성과 리팩토링을 통해 코드의 품질을 높이고, 디자이너는 사용성을 고려한 디자인 시스템을 구축하며 효율적인 디자인을 위해 힘쓴다. 그렇다면 대학생 PM은 어떻게 실무에 가까운 경험을 쌓아갈 수 있을까? 나는 지난 겨울방학 프로젝트 이후 팀원들과 함께 사이드 프로젝트를 이어가며 여러 방법들을 직접 활용해보았고, 이번 글에서 그 경험을 공유해보려 한다! 1. PRD, 기능명세서 그리고 화면명세서 우선 PRD(Product Requirements Document)는 제품에 반영되어야 할 요구 사항을 담은 가이드라고 할 수 있다. 구글의 프로덕트 매니저인 Omar Eduardo는 2020년..

Product/PM 2024.10.27

[Design] #3 디자인 시스템

1. 디자인 시스템이란? 디자인 시스템은 반복적인 디자인 요소를 조직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이를 통해 회사나 조직의 디자인을 체계화할 수 있다. 디자인 시스템을 어떻게 구성할 수 있을까? #2에서 다뤘던 컴포넌트와 인스턴스를 이용하면 된다.반복되는 요소를 컴포넌트로 만들고, 이를 복제한 인스턴스로 UI를 구성한다. 즉, 디자인 시스템은 프랜차이즈화와 같다고 생각하면 된다! 디자인 시스템은 파운데이션과 컴포넌트로 나눌 수 있다. 2. 파운데이션 파운데이션은 상수값, 고정값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컬러와 폰트(사이즈, 굵기, 자간, 행간 등)에서 많은 경우의 수 중, 우리 팀에서 사용할 것을 딱 정해놓고 그걸 정리해놓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안 작업 → 디자인 픽스 → 컴포넌트 모으기(디..

Product/Design 2024.05.25

[Design] #2 Figma 심화

1. 피그마 피그마는 웹 기반 UI/UX 디자인 및 프로토타이핑, 협업툴이다.자체 클라우드에 저장되는 방식으로, 오프라인으로 파일 저장 없이 실시간으로 저장하면서 사용한다.디자이너와 PM 뿐만 아니라 개발자들도 필수적으로 알아야하는 협업툴 중 하나이다..! 2. 피그마 심화 피그마는 직관적인 편이라 기본 기능들은 생각보다 다루기 쉬운 편이다.몇 가지 고급 기능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 Constraint 기능 오브젝트 제작을 유연하게 사용하는 기능이다.프레임 + 오브젝트의 축을 어디에 둘지 정할 수 있다. 이를 잘 활용하면 다양한 화면의 디바이스에 대응하게 작업하는 것이 가능하다.(특히 반응형 웹)특정 요소를 해당 위치에 고정시켜야 할 때 사용한다. • Auto Layout 기능 오브젝트 수정에 있..

Product/Design 2024.05.20

[Design] #1 디자인의 이해

난 올해부터 웹서비스 개발 연합동아리 멋쟁이사자처럼 12기 디자인 파트로 활동하고 있다. 작년부터 PM으로 활동하면서 디자인을 제대로 배워보고 싶다는 마음을 항상 가지고 있었는데 좋은 기회인만큼 열심히 해보자! 디자인 세션에서 배운 내용을 공유해보려고 한다. 1. UX/UI에 대한 이해 UI = User InterfaceUI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서비스나 제품의 화면 안에 있는 모든 것을 의미한다.UI는 껍데기다. UX = User ExperienceUX는 사용자가 제품이나 서비스와 상호작용할 때 전반적으로 느끼는 경험과 이를 개선하는 디자인 및 전략을 의미한다.즉, UX는 UI라는 껍데기를 맛있게 만들어주는 것이다. 따라서 UX와 UI는 반드시 함께 고려되어야 하는 소울메이트 같은 존재로, UX에 기반하..

Product/Design 2024.05.06

[PM] 초보 PM이 알려주는 좋은 PM 되는 법

나는 UMC라는 대학생 IT 연합동아리에서 5기 PM파트로 활동을 했다!PM 스터디와 겨울방학때 프로젝트를 하며 배웠던 것들을 공유해보려고 한다.  1. PM이란? PM은 Product Manager의 줄임말로, 쉽게 말해 프로덕트(제품)을 매니징(관리)하는 사람을 말한다. 2. 기획자 vs PM 대개 기획자와 PM이 같은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하는 일이 전혀 다르다. 기획자는 문제 상황을 바탕으로 그것을 해결할 아이디어를 도출해내는 역할이고, PM은 프로덕트가 잘 만들어질 수 있도록 '운영'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난 운좋게도 저번 겨울방학때 기획자와 PM을 동시에 경험해보았다.  3. 기획문서 PM은 이걸 작성하기 위해 존재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리고 이걸 바탕으로 개발자와 디자이..

Product/PM 2024.03.15